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품기사]010 쌀의 영양강화법의 일종으로 벼를 쪄서 건조한 후 도정하는 방법은?

728x90
반응형

010 쌀의 영양강화법의 일종으로 벼를 쪄서 건조한 후 도정하는 방법은?

1. cut back 법

2. premix 법

3. parboil법

4. fartified rice 법

정답: 3번

해설: 오 오랜만에 어려운 문제가 나왔다 개념을 모르면 문제를 풀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벼를 쪄서 건조한다고 했느니깐 뭔가 끓이는 방식을 사용한 boil 이라는 단어가 끓이다는 단어니깐 3번을 찍어서 맞춤

정답은 맞췄지만 보기를 한번 스윽 봐둬야 겠다.

cut back 법 = 필기책에 안나옴 절대 문제 안나옴

premix법= 쌀의 부족한 영양분 비타민b1 b2 등을 진한 용액으로 만들어 쌀에 묻히고 단백질 피막을 입히는 것

parboil법= 벼를 수침하여 찐 다음 건조하면 배아나 겨층에 있는 비타민 b1 b2드의 성분이 배유 속으로 이행되어 강화된다.

fartified rice법= 나오지 않는다.

참고 도정 곡물 가공품 이론

강화미: 비타민b1 b2를 백미에 첨가한 것

알파미: 쌀 전분을 알파화 시킨 후 고온에서 수분을 15% 이하로 급속히 탈수걵하여 알바 전분 상태로 고정한 것으로 즉석미 건조밥이라고 한다.

parboiled rice: 벼를 냉수에 1일 침지하여 수분을 40% 정도로 하고 100도에서 30분동안 처리한 후 말려서 탈곡 도정한 것으로 배아와 겨 속의 영양이 배유로 옮겨 가게된다. 따라서 영양 손실을 만꼬 표면경화로 저장성이 향상된다

팽화미: 곡물을 고온 고압으로 유지하다가 급격히 상온 상압으로 조절하여 팽화시킨 것으로 세포가 파괴되어 연하게 되는 동시에 팽창한다.

튀밥이라고도한다. 쌀 보리 옥수수 등에 이용된다. 뭐야 결국 뻥튀기 라는 말이잖아??

728x90
반응형